49제 날짜 계산법 엑셀 자동계산기 첨부
사랑하는 이를 떠나 보낸 후 치르는 몇 가지 의식이 있습니다. 고인의 장례 후 3일째 성묘를 하는 삼우제와 49제가 대표적입니다. 삼우제와 49제는 요즘 날짜를 철저히 지켜서 하지는 않지만 예법인 만큼 정확한 날짜를 알고자 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삼우제에 비해 49재는 계산하기 어렵기에 오늘 49제 날짜 계산법을 직접 만든 엑셀 자동계산기를 통해 알려드리려 합니다.
먼저 49제 날짜 계산법에 앞서, 49제 49재 어휘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흔히들 49제로 알고 계시지만, 옳은 표현은 49재 입니다. 제사의 제(祭)를 사용한다고 생각하시지만 실제로는 재(齋)를 사용합니다. 아직 헷갈리시는 분들을 위해 오늘은 혼용하여 사용하겠습니다. 49제 날짜 계산법은 제사를 지낸 날짜가 아닌, 실제로 돌아가신 날짜를 기준으로 합니다.
돌아가신 날을 기준으로 날짜를 계산하기 때문에 가장 간단한 49제 날짜 계산법은 (돌아가신 날짜)+ 7주 – 1일 이 되겠습니다. 또는 엑셀 자동계산기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요. 먼저 하단에 있는 49제 날짜 계산법이 들어있는 엑셀 계산기를 다운받아 주십시오.
이후 49제 날짜 계산법 파일 중 ‘돌아가신 날짜 입력’ 하단에 실제로 사망하신 날짜를 입력합니다. 2019-03-27의 방식으로 연-월-일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입력하면 곧바로 49재 날짜가 우측에 자동 계산될 텐데요. 2019년 3월 27일이 돌아가신 날이라면 49제 날짜 계산법에 의해 49재를 지내는 날은 2019년 5월 14일(화) 입니다.
49재는 본래 불교에서 비롯된 의식으로, 7일마다 불경을 외우며 재를 올리는 것을 49일동안 반복하는 것입니다. 이 49일 동안 후손이 정성을 들여 제례의식을 행하면 망자가 다음 생에 더 좋은 곳에 좋은 복을 갖고 태어나 선한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일반적으로 적용된 것이 지금의 49재입니다.
49제 날짜 계산법을 궁금해 하시는 것은 49재 이후에는 1주기, 2주기 식으로 고인이 되신 날만 계산하여 챙기면 되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49제를 올린 후 유족들은 대개 탈상을 하고 본격적으로 일상에 돌아가지만 가정 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집안의 종교에 따라 49재를 추도예배로 변형하여 지내기도 합니다. 묵상기도, 추도글 낭독 등을 나름의 절차에 따라 행하는 것으로 위로예배, 추모예배 등으로도 불리며 이 또한 가정에 따라 예배식으로 올리기도 하고 49제 날짜 계산법으로 날짜를 맞추어 간단히 가족 모임을 갖기도 합니다. 고인의 생전 모습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이 되겠습니다.
불교에서 유래되었으나 엄격히 불교에만 국한되지 않은 제례가 된 만큼 가족 구성원들의 의견에 따라 49재를 지내는 방식은 조금씩 다릅니다. 다만 돌아가신 지 49일 이라는 날짜가 자연스레 상징성을 가지는 날이 된 만큼, 첨부해드린 49제 날짜 계산법 엑셀 파일을 통해 날짜부터 계산해 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